홈으로
 
여행정보 보기
 
나가기
 
반응형

감자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주들에게 보상이 제공되냐 아니냐에 따라 유상감자, 무상감자로 나눠지게 됩니다.

유상감자

유상감자는 감자를 시행할 때 주주들에게 보유한 주식 중 일부를 환급하는 방식으로 보상하는 걸 말합니다. 기업이 판단했을 때 자본금이 너무 과한데? 싶을 때 자본규모를 적정화 시키는 거죠. 다시 말해 주주들에게 "보상해 줄 테니 주식 팔아줄래?" 제안 후 매입하고 소각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액면가, 시장가 이상으로 매입 시 '감자 차손'이  발생되고 액면가 이하 금액으로 매입하면 '감자차익'이 발생됩니다. 

 

그렇다면 유상감자를 호재로 봐야 할까요 악재로 봐야 할까요?

유상감자를 통해 50000주에서 30000주가 된다면 희소성이 생기겠죠. 회사의 지분가치가 늘어나는 효과도 함께 불러오기 때문에 대부분 호재로 인식합니다만 우리나라에서 유상감자는 드물다는 게 현실이죠.

 

무상감자

유상감자와는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이라 볼 수 있습니다. 주주들에게 보상을 해주지 않는 방식으로 감자를 시행하거든요. 실질적인 자본금이 줄진 않고 자본 이동만 이뤄집니다. 자본잠식 문제 해결을 위해 자본잉여금을 늘려 감자를 할 때 대부분 무상감자를 시행합니다. 주주들에게 보상을 주지 않으니 기업가치엔 변화가 오지 않고 유통 중인 주식의 수를 20만 주에서 10만 주로 줄이게 된다면 주가는 2배가 됩니다. 

 

무상감자는 좋은 거야 나쁜 거야?

주주에게 손해를 주지 않으니 좋은 걸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상감자를 시행한다고 하면 기업 재무가 안 좋단 뜻으로 비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기론 악재로 볼 수 있지만 장기로 보게 된다면 좋은 경우가 많죠. 현재 재무상태와 경영 문제를 기업에서도 다 파악하고 있고 그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한 것이기에 이후 주가가 오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상감자와 유상감자의 차이점

 

두 감자의 차이점

유상감자 : 주주에게 보상이 돌아간다. 실제 자본이 바뀌며 실질적인 감자가 진행된다. 프리미엄에 따라 호재가 될 수 있다.

무상감자: 보상이 돌아가지 않는다. 자본의 이동만 일어나는 형식적인 감자. 기업의 대응, 상황에 따라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다. 

오늘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 두산백과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